
- Fuse - a declarative, open source UX engine
- Platform
- Creative Hall
-
*해당 세션은 영어로 진행되며, 통역이 지원됩니다.
Fuse is a UX engine for native mobile apps. Fuse allows responsive layout, animation, interaction and effects
to be expressed in easy to learn declarative markup, accessible to both developers and interaction designers.
This talk presents the technical challenges and solutions behind Fuse's fully declarative and open source
mobile UI engine, and how it allows you to build sophisticated apps and components for mobile with minimal
native coding.Anders LassenFUSE
Anders Lassen (CEO and co-founder of Fuse) elaborates on the technical challenges behind building a fully
declarative mobile UI engine, which enables rich animation and responsive designs without the need for
traditional coding. We'll discuss how declarative tools and languages can improve team collaboration, speed up
development and create more robust software.
- 오픈소스 프로젝트 설립 가이드 - Tizen, OCF 사례를 중심으로
-
- Compliance
- Frontier Hall
-
기업들이 왜 새로운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만드는지, 그 과정에는 어떠한 위험이 있고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사례를 통해 소개 드리고자 합니다. 오픈소스 프로젝트 설립 가이드 - Tizen, OCF 사례를 중심으로 Tizen 부터 OCF (IoTivity)에
이르기까지 삼성전자가 주도하는 60여 개의 오픈소스 프로젝트 설립에 참여해 온 경험을 공유합니다.정윤환삼성전자
국내 로스쿨 1기 출신으로, 삼성전자 오픈소스그룹의 유일한 변호사이다. 2012년에 설립된 오픈소스사무국 (現 오픈소스그룹) 의 초창기 멤버로 합류하여 법률 분야 뿐 아니라 전략, 컴플라이언스, 신규 프로젝트 설립 등 오픈소스와 관련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 Backend.AI: 오픈소스 기반 AI 인프라 프레임워크
-
- AI
- E107
-
기나긴 "AI Winter"를 지나 이제는 데이터를 가진 회사라면 누구나 AI 기술을 도입하려고 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AI 기술의 발전에는 오랫동안 신경망 알고리즘을 연구해온 다양한 연구자들의 노력이 컸지만, 그 보급에는
오픈소스가 가장 큰 기여를 했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TensorFlow와 Keras, Caffe, Torch와 같은 오픈소스 AI
프레임워크들의 등장으로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이 개발할 AI 모델을 쉽게 공유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AI 프레임워크들이 사용하기 쉬워졌다고 해서 AI 기술을 도입하는 데 필요한 문제들이 모두 해결되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data pipeline"이라고 불리는, 데이터 수집에서부터 실제 AI 모델을 통한 예측을 수행하고 이를 서비스
반영하는, 그리고 신규 데이터를 활용해 AI 모델을 지속적으로 갱신하는 시스템을 모두 구축하고 관리하고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일입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고 AI의 보급을 보다 가속하기 위해, 래블업은 오픈소스 AI 프레임워크들을 인프라 엔지니어링에
대한 고민 없이 쉽게 대규모로 사용할 수 있게 받쳐주는 Backend.AI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Backend.AI는 Linux container 기술을 활용하여 짧은 시간에 대규모의 연산 자원을 동원한 AI 학습 세션과 일반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연산 세션을 만들 수 있게 해줍니다.
이 발표에서는, Backend.AI의 개발과정에서 어떤 문제들을 맞닥뜨렸는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오픈소스 기술들을
어떻게 조합하고 활용하였는지 심층적으로 소개하고자 합니다. 대표적으로 다룰 내용으로는, Python asyncio를 활용한
다중 프로세스 서버 구축, Go 언어와 Linux 커널의 seccomp 필터를 활용한 보안샌드박스 구축, 연산 자원 사용량 제어 및
웹 기반 실시간 상호작용을 위한 libc 해킹 기법, 웹 터미널을 구현하기 위한 비동기 웹소켓 서버 등이 있습니다.김준기Lablup
KAIST 전산학과 박사로 이기종 프로세서를 위한 고성능 패킷처리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고, 현재 래블업에서 CTO를 맡아
클라우드 인프라 및 AI 분산처리 백엔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태터툴즈와 텍스트큐브로 오픈소스에 입문하였고 개발
일상에서도 다양한 오픈소스를 사용·기여하고 있습니다.
- 오픈소스를 활용한 마이크로 서비스의 캐시 전략
-
- Web
- Creative Hall
-
사용자 증가로 인한 웹 서비스 성능이슈를 다양한 오픈소스와 캐시로 해결하는 전략을 살펴본다. 사용자가 많지 않은 오픈
초기에 작성한 모노리틱 웹 서비스는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서 다양한 성능 이슈를 겪게 된다. 이 같은 성능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모노리틱 서비스를 마이크로 서비스로 분해하는 과도기에서 적용 가능한 캐시전략을 아키텍처 변천사와
함께 살펴본다.
발표에서 다룰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 모노리틱 서비스에서의 캐시 전략.
- 모노리틱과 마이크로 서비스의 과도기 극복 방안.
- 캐시의 SPOF가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법.
- 캐시 적용 사례
- 캐시 적용 실패 사례정경석아프리카TV
백엔드 플랫폼 개발자로서 하루 수천만에 이르는 요청을 처리하는 다양한 대용량 서비스를 구축 및 운영해 왔으며
현재 아프리카TV의 검색 서비스와 캐시 클러스터를 개발하고 운영중이다.
저서로는 '이것이 레디스다', '자바 네트워크소녀 네티' 가 있다.
- 평범한 개발자가 오픈소스로 먹고살기 - 오픈소스 올챙이(테드폴허브) 좌충 우돌 생존기
-
- Lightning Talk
- Frontier Hall
-
평범한 개발자가 6년전에 시작한 개인 오픈소스 프로젝트 였습니다. 회사도 아니었고, 개인 몇명이 개발하는 프로젝트
였습니다. 지금은 회사를 만들었고, 카카오뱅크, 로엔엔터테인먼트, 동아닷컴등의 엔터프라이즈 고객사가 생겼습니다.
그 과정들을 살펴보고, 이 과정을 궁금해 하는 개발자들에게 동기부여 하려고 합니다. 아울러, 내가 생각한 오픈소스
프로젝트는 무엇인고, 기업은 오픈소스를어떻게 바라봐야하는지, 어떤 의미를 가지려고 노력 하는지, 무엇을 얻어야
하는지 말해 보고자 합니다.조현종올챙이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협업 플랫폼 올챙이 개발을 시작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회사(테드폴허브)를 창업하여 엔터프라이즈
버전을 판매 유지 보수 있습니다. 개발자가 오픈소스로 먹고 사는 것 회사에 대해 배워가는 중입니다.
- 오픈소스를 활용한 스타트업 사내 인프라 구축기
-
- Big Data/Cloud
- E107
-
복잡한 사내 인프라를 오픈소스를 활용하여 1인 개발자가 구축한 경험을 소개합니다. 퍼블릭 클라우드만 사용했던 기존의
환경에서 비용절감을 위해 오픈소스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했던 과정을 이야기합니다. pfSense를 활용해서
사내 네트워크 망을 구축하여 사용하고 있는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과 Site-to-Site VPN 연결을 설정하였으며 이 환경을
기반으로, OpenStack을 이용한 프라이빗 클라우드(IaaS) 환경 구축, bind를 이용한 사내 DNS 서버 구축, Docker
레지스트리 서버 구축, Github과 연동되는 Jenkins 배포 서버 구축 등 여러 인프라 서비스를 구축한 사례들을 소개합니다.한만종(주)히든트랙
현재 구독 캘린더 솔루션을 서비스하는 히든트랙에서 서비스 개발 총괄을 맡고 있습니다. OpenStack에 기여하면서
클라우드 및 인프라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파이썬, 루비를 이용한 백엔드 개발을 즐겨하며 취미로
iOS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 Central Dogma : LINE의 Git기반 고가용성 서비스 설정 저장소
-
- Platform
- Creative Hall
-
본 세션에서는 Git, ZooKeeper, HTTP/2에 기반한 멀티마스터 리플리케이션과 버전 컨트롤을 제공하는 LINE의 텍스트
기반 서비스 설정 저장소인 'Central Dogma'를 소개합니다. Central Dogma가 어떤 기능을 제공하고, 엔지니어링과
워크플로우 측면에서 LINE이 일하는 방식을 어떻게 바꾸어 놓았는지 알아보세요.이희승LINE+
이희승은 수많은 JVM기반의 대규모 인터넷 서비스를 지탱하는 오픈 소스 비동기 네트워킹 라이브러리인 Netty의 창시자로
잘 알려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입니다. LINE에서는, 이 발표에서 소개할 Central Dogma와 더불어 Netty, Thrift, gRPC에
기반한 오픈 소스 비동기 HTTP/2 RPC/REST 클라이언트/서버 라이브러리인 Armeria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 Tizen & Tizen RT 기반 Things SDK 소개
-
- IoT
- Frontier Hall
-
OCF 기반 IoT 서비스인 Samsung Connect 서비스에 연결되는 Thing을 쉽게 개발할 수 있는 Tizen Things SDK 소개
박지훈삼성전자
삼성전자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Tizen IoT Service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플랫폼으로서의 Tizen 개발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SmartThings Cloud 와 연동되는 서비스를 Tizen 기반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 주니어 개발자 5,000명, 개발해서 남 주자
-
- Lightning Talk
- E107
-
9XD의 진유림 리더는 현재 핑크퐁 등 글로벌 콘텐츠를 만들고 있는 스마트스터디에서 Artistic Software Engineer로 개발업무를
하며, 동시에 시작하는 개발자들의 커뮤니티인 9XD: Young, Wild Coders의 창립자이자 리더로 활동중이다.
그녀는 Google Women Techmakers, 나는 프로그래머다, FastCamps 등 다양한 개발자 행사 및 프로그램에서 젊은 세대들의
개발자 문화에 대한 발표를 한 경험이 있다. 진유림 리더는 현재 커뮤니티 빌딩과 함께 만드는 코딩 축제(해커톤, 코드랩)에
관심이 많으며 앞으로 이 분야에서 계속 활동할 예정이다.진유림9XD
(현) SMARTSTUDY, Artistic Software Engineer
(전) Lezhin Entertainment, Software Engineer
9XD: Young, Wild Coders 오거나이저
발표: 국민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대덕마이스터고등학교, 나는 프로그래머다, Google Women Techmakers,
Design Spectrum, Fastcampus, Code Squad
- 오픈소스 S/W를 활용한 사이버 위협 인텔리젼스(공격자 추적과 프로파일링)
- Security
- Creative Hall
-
최근 한국내 정부기관 및 일반기업을 대상으로 APT(지능형 지속 공격, Advanced Persistent Threat) 해킹사고가 다수
발생하고 있는데 이러한 APT 해킹의 특징은 동일한 공격조직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국내에서 발생한
이러한 APT 해킹사고를 일으킨 해킹조직을 추적하고 프로파일링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오픈소스 S/W를 알아보고
그러한 S/W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본다.박문범KISA(한국인터넷진흥원)
현재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선임연구원으로, 1999년 고3 시절 SCO Linux를 플로피 디스크 64장으로 설치한것을
시작으로 해킹에 심취했으며, 2000년대 초반 대학 학부시절부터 취약점분석과 해킹기법 연구를 해오고 있다. 국내
언더그라운드 해커그룹 정예멤버로 15년째 활동해오고 있으며, 2007년부터 모 정부기관에서 해킹사고 분석, 공격기법 연구,
취약점 분석 등의 업무를 해오고 있다. 최근에는 국가조직(북한, 중국)에 기반한 공격자들의 공격기법 분석을 통한 공격자
추적 및 프로파일링 기법과 관련된 연구를 하고 있으며, '차세대 보안리더 BoB'의 멘토로도 활동하고 있다. 요즘에는
공명심에 젖은 음지의 어린양들을 양지로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도 병행하는 중이며, TROOPERS, Ekoparty, HITCON, HITB,
VXCON, Hack Miami 등 해외 해킹/보안 컨퍼런스에서 발표한다는 것을 핑계로 공짜 세계일주 여행을 즐기고 있다.
- Apache Hive 2: 대규모고속 SQL
-
- Big Data/Cloud
- Frontier Hall
-
세션 내용이 곧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최종욱Apache SW Foundation Hive Committer
아파치 SW재단의 원천제작자, 호튼웍스 제품 개발팀 소속 개발자, 호튼웍스 코리아 전임 CTO
- Web Assembly & Developer Toolkit
- Web
- E107
-
고성능 Web Contents 제작을 위한 최신 Web 표준 기술인 Web Assembly 기술 소개 및 Web Assembly를 활용하여
쉽게 Application 제작을 가능하도록 하는 Samsung 자체 Open source toolkit 소개김현덕삼성전자
삼성전자 소프트웨어센터에서 web platform 개발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WebAssembly를 사용한 web 성능 강화 및 사용자 개발 환경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정진우삼성전자
삼성전자 소프트웨어센터에서 Web Platform 개발 업무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WebKit2-efl과 chromium-efl 엔진 개발 및 성능 최적화에 참여하였고, 현재 WebAssembly
확산을 위해 WebAssembly library 및 WebApp을 개발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 3D 프린터로 새 삶을 출력하다.
-
- Inspiration Talk
- Creative Hall
-
3D 프린터로 무엇이든 만들 수 있다는 자만심에 빠져 살던 만드로의 이상호 대표는 2015년 1월에 두 손을 잃은 동갑내기인
‘정상에서’ 님의 사연을 접하게 된다. 전자의수 한 쪽에 4천만원이나 하기에 살 돈이 없어 포기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접한
그는, 생애 처음으로 전자의수를 만들기 시작한다. 2주 동안 ‘정상에서’ 님에게 첫 번째 전자의수를 만들어 드리는
과정에서 다수의 절단장애인 분들과 그들의 어려운 삶을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단 한 명을 위했던 재능기부를 보다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확산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는데...이상호만드로
이상호 대표는 2015년 1월, 온라인 카페에 쓰여진 양손 절단장애인의 사연을 접하고 3D 프린팅 기술로 전자의수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그 일을 계기로 수 많은 절단장애인의 어려움을 알았고, 스마트폰 가격의 전자의수를 만든다는 목표를 향해
꾸준히 나아가는 중입니다.
- 처음 시작하는 Microsoft 홀로랜즈와 MR(Mixed Reality) 시연과 개발
-
- Mixed Reality
- Creative Hall
-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던 HoloLens가 발표 된지 벌써 2년이 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홀로랜즈 기술을 공유하고 있는
저가형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이 세션에서는 HoloLens 뿐만 아니라 여러 회사에서 출시하고 있는 Mixed Reality
기술의 시연과 개발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드리는 첫 자리가 될 예정입니다.김영욱마이크로소프트
현재 Microsoft에서 에반젤리스트 업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War of IT'라는 전쟁사 서적을 집필한 소문난 밀덕이기도 하다.
IoT, 클라우드 서비스등의 업무를 맡고 있고 스타트업과 개발자 커뮤니티와 소통하는 데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각종 VR 기술을 주말마다 열심히 공부하고 있다.
- Apache Spark, SparkSQL, PySpark and SparkR 내부 구조와 최근 동향 살펴보기
- Big Data/Cloud
- Frontier Hall
-
Apache Spark의 SparkSQL, PySpark 과 SparkR 내부 구조와 최근 동향을 살펴 보려고 합니다.
각 컴포넌트 들의 내부 구조 및 제가 이해하고 있는 지식을 공유하고, 최근 동향 및 디버깅 팁등을 공유하고자 합니다.권혁진Mobigen
Apache Spark Committer 입니다. 오픈소스를 좋아합니다. 남들과 별 다를바 없는 평범한 개발자 입니다.
- ONOS, CORD를 통하여 알아보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의 발전 및 적용 사례
- Network
- E107
-
- Open Networking Foundation에서 진행 중인 ONOS, CORD 오픈소스를 기반으로한 Software-Defined
Standards Activity 소개
- Open Network Operating System (ONOS) SDN 컨트롤러 개요
- ONOS 아키텍처, Southbound Interface, Northbound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 ONOS의 Killer 적용 사례인 Central Office Re-Architectured as a Datacenter (CORD) 소개
- 국내외 ONOS/CORD 오픈소스 커뮤니티 활동리건ONOS Ambassador
- Research Assistant Professor at POSTECH (2017~, SDN/NFV)
- Leader of ONOS gRPC Northbound Brigade (2017~)
- ONOS/CORD/ONF Ambassador Steering Team Member (2016~)
- Chair of ONOS/CORD Working Group under SDN/NFV Forum (2016~)
- Research Scholar at Open Networking Laboratory (2015 ~ 2016)
- 헬로, 딥러닝
-
- AI
- Creative Hall
-
최근에 되살아난 인공지능 기술의 핵심은 딥러닝입니다. 화제가 되고 있는 인공지능의 대부분은 딥러닝으로 만들어졌을
정도입니다. 이 시간을 통해서 기존에 우리가 프로그래밍 하던 방식과 딥러닝의 차이를 확실 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어려운 수식을 사용하지 않고, 직관적으로 이해해 보고자 합니다. 그 이해를 바탕으로 현재의 인공지능에 대해서 더 잘
이해하고, 미래의 인공지능에 대해서 상상해 볼 수 있습니다.남세동보이저엑스
수학, 과학을 좋아하며, 어려운 것을 쉽고 정확하게 설명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세이클럽 초기에 1인 개발자였을 정도로 컴퓨터와 프로그래밍에 대한 경험이 많고 이해가 깊습니다.
세이클럽과 B612를 창조 하였으며, 기획과 디자인에 대해서도 상당한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 드론 오픈소스 플랫폼(Open Source UAV Platform)
-
- Smart Machine
- Frontier Hall
-
현재 산업용 드론에 사용되는 오픈 소스 플랫폼을 소개합니다. 2017년 현재 기술 수준과 발전 방향에 대해서 공유합니다.
신제용subak.io
오픈소스 기반 산업용 드론 플랫폼 기술을 제공하는 회사에서 일하며 Dronecode 프로젝트 멤버로 활동 중.
- Next generation web for connected things - IoT
-
- IoT
- E107
-
*해당 세션은 영어로 진행되며, 통역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The purpose of this presentation is to explain how IoT.js is part of Internet of Things solutions. IoT is a new booming
industry with many expensive solutions, which are very hard to integrate.IoT.js is based on open web standards like HTTPS
and JavaScript. The presentations demonstrates, why its very good development environment for fast prototyping of a connected
hardware solutions.The architecture of JavaScript engine will be explained. The relations between a kernel, JavaScript engine
and applications is analysed. The Node.js and IoT.js will be compared with focus at key things important for developers.
The major JavaScript APIs will be disclosed with sample scenarios of practical usage. IoT.js is Open Source project so
this presentation is an invitation for developers to join our new community of tinkerers working together for better IoT.Piotr Marcinkiewicz삼성전자
Piotr Marcinkiewicz is senior software engineer in Samsung Electronics in Poland. He developed a wide variety
of embedded applications using Open Source solutions. Piotr take part in the creation of Tizen and porting it to
smartphones, smartwatches and smart TV. He contributed to IoT.js and presented it at Tizen Developer
Conference 2017. Piotr used to work in TomTom and created speech recognition software for a car navigation.
Piotr's favorite editor is vim. His hobby is VR gaming, 3D printing and hacking IoT devices. Piotr have lived in
Suwon for one year.
- 역경을 바꾸면 빛나는 경력이 된다.
-
- Inspiration Talk
- Creative Hall
-
세션 내용이 곧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홍순재하우스 플러스
홍순재 대표는 꿈꾸는 청년들에게 손 내미는 나눔 링커(Linker)로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서로 연결해주고,
서로를 도울 수 있도록 돕는 창업교육가이다. KBS 강연 100℃ 프로그램에서 공감온도 98℃ 의 최고 시청률을 기록한 홍순재
대표는 부동산으로 성공했던 20대 초반, 그리고 5억의 빚을 지고 노숙자 신세를 지었던 노숙자의 삶,
그리고 다시 '스마트폰 첨성대'를 개발해 성공한 창업가이자 창업교육가로 변신하였다.
현재 홍순재 대표는 강연자, 방송인이자, 베스트셀러 작가, 서울시 창업 지도사, 하우스플러스 대표이사,
미래부 창조경제 자문위원을 역임중이다.
- 오픈소스와 JavaScript 기반 Cloud IoT 지능형 반려 로봇
-
- Smart Machine
- Frontier Hall
-
- 게임 업계에서 삼성SDS와 삼성블루핵해커톤을 거쳐 로봇 스타트업으로 창업한 Circulus 의 간략한 스토리
- JavaScript 기반으로 플랫폼, 임베디드, 모바일 통합 내용
- 오픈소스를 활용한 클라우드 기반 개발 및 공유 환경
- 오픈소스를 활용한 데이터 수집 / 처리 / 분석 / 머신러닝 적용 사례
- 로봇 이외의 디바이스 통합 사례박종건Circulus
현) 서큘러스 CEO
현) 수원대학교 교수겸임
전) 삼성SDS 정보기술연구소
전) 다음게임
전) 숭실대학교 정보통신전자공학부
- 오픈소스 검색엔진을 활용한 다양한 데이터 분석
-
- Big Data/Cloud
- E107
-
오픈소스 검색엔진인 Elasticsearch a와 Elastic Stack 을 활용하여 웹 로그 분석을 통한 보안 위협 파악, 사용자 데이터를
통한 마케팅 분석 등 데이터를 이용해 다양한 인사이트를 얻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김종민Elastic
Elastic 에서 테크 에반젤리스트로 근무하고 있으며 오픈소스 검색엔진인 Elasticsearch 와 관련한 다양한 강연, 커뮤니티,
컨설팅 활동들을 하고 있습니다. "시작하세요 엘라스틱서치"를 집필했으며 Elastic 관련 블로그 포스트 등을 통해 기술
전파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AWS에서의 오픈 소스 활용 및 전략
-
- Big Data/Cloud
- Creative Hall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선도하고 있는 아마존웹서비스는 초기 부터 각종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활용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다방면으로 지원해왔다. 특히, 오픈 소스 기반 Amazon RDS, ElastiCache, ElasticSearch 등 매니지드
서비스를 통해 보다 쉽고 빠르게 개발 및 운영에 도움을 주었다. 최근에는 Amazon Aurora와 같이 기존오픈 소스 성능
개량을 통한 제품화 뿐 아니라 콘테이너 관리용 Blox 및 인공 지능 라이브러리 MXNet 프로젝트 등에도 적극 투자하고
있다. 상용 소프트웨어 벤더에 대응하는 오픈 소스의 강력한 지지자로서 AWS의 오픈 소스 전략 및 공헌 방법을 알아 본다.윤석찬아마존웹서비스
윤석찬 아마존웹서비스 테크 에반젤리스트는 AWS 클라우드 기술을 전파하며 개발자들이 클라우드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웹 개발자로 인터넷 업계에 투신해 스타트업 CTO, 오픈소스 커뮤니티 리더 및 IT 분야 블로거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고, 다음커뮤니케이션에서 연구개발 부서 리더 및 오픈 API 플랫폼 에반젤리스트로서 API 플랫폼 구축 및 외부 개발자 지원을 담당했습니다. 2002년 부터 한국 Mozilla 커뮤니티 리더로서 오픈 소스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으며, 2007년 제주대 컴퓨터공학과에서 국내 최초로 오픈 소스 교과목을 개설해서 운영했습니다.
- Tizen .NET과 Cross Platform TV Application 개발
-
- Platform
- Frontier Hall
-
Tizen. NET과 Visual Studio Tools for Tizen 소개
Cross Platform Application Project 만들기
Xamarin Forms를 이용한 UI 공용화
Tizen TV와 Android TV에서 동작하는 VideoPlayer 구현장헌재삼성전자
삼성전자 SWC Tizen Platform Lab 소속으로 Tizen Application 개발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분들이 보다 쉽게 Tizen에 다가설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 Bacardi Project : Node.js 네이티브 모듈을 위한 오픈소스 바인딩 제네레이터
-
- Web
- E107
-
Chromium/Blink 엔진 개발자가 먹고 살기 위해 Node.js라는 조금 다른 분야에 발을 들여놓으면서 기존의 오픈소스
기술들을 활용해 새로운 오픈소스 프로젝트(Bacardi)를 만들게 된 과정을 소개합니다.
Bacardi는 Node.js에서 네이티브 모듈을 연동하기 위해 개발자가 직접 컨트롤해야하는 많은 일들을 WebIDL이라는
표준과 Chromium/Blink 같은 웹 엔진에서 사용하는 코드 제네레이터 기술을 사용하여 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젝트입니다.방진호삼성전자
삼성전자에서 "삼성 인터넷 브라우저"를 개발합니다.
W3C Spec Editor (since 2017)
Chromium/Blink Owner (since 2016)
Chromium/Blink Committer (since 2014)
- 오픈소스 취약점 분석 자동화 시스템
-
- Security
- Creative Hall
-
오픈소스에 포함되어 있는 공개 취약점들을 자동으로 분석/탐지하여, 제품/서비스에 활용시 발생할 수 있는 보안문제들을
사전에 패치할 수 있도록 지원. 새롭게 발생되는 취약점들을 지속적으로 찾아 업데이트하여 사용 중인 오픈소스에
대해서도 신규 취약점 발생시 자동으로 탐지 및 Alarm을 제공황용호삼성전자
삼성전자 소프트웨어 센터 Security Team에서 취약점 분석과 보안점검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S/W의 보안 취약점 분석을 자동화하기 위한 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특히 오픈소스에서 공개된 취약점들을 자동으로
검출하고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을 통해 점점 비중이 확대되어가고 있는 오픈소스들을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 우아한 JS 오픈소스 개발
-
- Lightning Talk
- Frontier Hall
-
서비스 회사의 개발자로서 Javascript framework을 만들고 보급하며 쌓이는 오픈소스 개발에 대한 생각. 전문
프론트앤드 개발자란 무엇일까? 현대적인 웹 서비스를 만들어야하는 개발자들은 무엇을 원하는가? 이미 유명한
오픈소스를 사용하면 되지 않나에 대한 끊임 없는 고민들. 그리고 결국 코드 작성을 최소화 할 숨은 전략에 대해 알아보자.김민태우아한형제들
우아한형제들에서 웹프론트앤드 전문 개발자로 서비스를 개발/운영하고 있습니다. 선배로서 후배들에게 또는 프로그래밍을
배우고자 하는 분들에게 지식 나눔 활동을 꾸준히 하고자 노력하는 연식 많은 프로그래머입니다.
- Serverless Computing
-
- Big Data/Cloud
- E107
-
*해당 세션은 영어로 진행되며, 통역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ServerlessComputing in general refers to Cloud Computing Model, where you upload the piece of code to
be executed and specify a Runtime you need, and the details of resource allocation, execution, logging,
data/results are taken over by the servers on the cloud that are managed independently.
In this talk we will address FunctionAsASerivce(FaaS), one Usecase of Serverless Computing. FaaS is the
least granular, independent piece of code that can be executed in its on the cloud. The small sizes and
independentness provided by its own Runtime, makes is suitable for Secure Micro/Nano services and the
ability scale as much as needed.
We will go over the existing FaaS frameworks(eg. AWS Lambda, IBM OpenWhisk, Google CloudFunctions),
FaaS Applications/Use cases, and the architectural components of a distributed system to implement FaaS.Kavitha Vallari Devara삼성전자
Kavitha Vallari Devara is a member of FaaS team in "Open Service Lab of Convergence Team (SW R&D Center)"..
She holds Bachellor's in Computer Sc. & Engg. from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Madras and Masters in
computer Science & Engg. from Columbia University, NewYork City.
Prior to Samsung, she worked on (a) Switching/Routing Software for Digital Exchanges @ C-DoT,
Bangalore/Delhi, (b) Prototyping MobileIP & IPV6 Test beds @ IBM Research, New York, (c) Data Broadcast
protocols & Middleware for Enhanced DTV applications @ Philips Research, NewYork, (d) Data session Handoffs,
Fast Call setup, Dual IP Stacks, IP Multicast for Cellular and Tethered data sessions @ Qualcomm Inc. San Diego,
(e) Network latency, Power optimization for Web Browsers on Mobiles @ Qualcomm Inc, San Diego. While at
Samsung, she worked on Web Rendering Engine for TV/ Mobile/Wearables prior to joining the Convergence
Team. Her hobbies include Painting, Yoga, Mathematics & Badminton. Favorite sites: meetup.com,
coursera.org - Enable you to join a fun group of people for anything, anytime, anywhere.
- 네이버의 Front-end 오픈소스 : Jindo에서 billboard.js까지
-
- Web
- Creative Hall
-
2010년에 공개한 Jindo부터 최근 공개 후, 의미있는 성과를 얻고 있는 차트 라이브러리인 billboard.js까지 오픈소스
생태계에서 얻은 혜택을 다시 오픈소스 생태계에 돌려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Jindo에서 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행착오와 개발에 대한 경험들을 소개하며, 더 나은 오픈 소스들이 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1. 네이버의 FE 오픈소스
- brief history
2. 오픈소스에서 필요한 것들
- 안정성 그리고 안정성
- 기술적 고려
- 개발 프로세스
- 메인터넌스 방식
3. 내부 프로젝트에서 오픈소스로
- 오픈소스로서의 가치
- 공개 전략
4. 오픈소스를 통해 얻는 가치박재성네이버
네이버에서 Front-end 기술 리서치 및 오픈소스(egjs, billboard.js) 개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2011년 출간된
"자바스크립트 UI 개발과 Jindo 프레임워크"와 2012년 출간된 "자바스크립트 성능이야기"의 공저자이기도 하며,
신기술에 대한 탐구에 관심이 많으며, 이에 대한 공유를 위해 노력 중입니다.
- From Kubernetes to OpenStack
-
- Big Data/Cloud
- Frontier Hall
-
OpenStack-Helm Project 와 같이 OpenStack 을 Kubernetes 위에 올리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이 필요합니다.
- Install Kubernetes and 관련 모니터링
- OpenStack 을 Kubernetes 에 배포하기 위해 관리하기 쉬운 툴
- OpenStack 을 배포단위로 나누어 패키징
첫번째 kubernetes 를 자동설치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각각 Kubespray 와 Prometheus 를 사용하고,
두번째 OpenStack 을 Kubernetes 의 배포 툴은 Helm 을 사용합니다. 마지막으로 OpenStack 을 배포하고자 패키징하기
위해서는 OpenStack-Helm Project Chart를 사용합니다. Kubespray 와 Helm 은 각각 Kubernetes 의 Incubator 및
하위 Project 이며 Prometheus 는 CNCF, OpenStack-Helm 은 OpenStack Project 입니다.
이 세션에서는 설명과 데모를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Kubespray 를 설명 및 kubernetes 를 설치
- Helm 설치
- OpenStack-Helm Chart 설명
- OpenStack 설치안승규SKT
20년간 삼성SDS에서 근무했으며, 근무하는 동안 2011년 이전까지 Java 기반의 Enterprise Application 개발하였고, 이후
2011년 부터 2014년 까지 OpenStack 을 활용한 Private Cloud 구축을 진행하였습니다. 이후 SKT 에서 Cloud Foundry
기반의 PaaS 를 구축하였고 현재는 kubespray 기반의 Kubernetes 구축, Kubernetes 기반의 OpenStack 구축, Netflix 의
Spinnaker & Chaos Monkey 로 Application Resilience 테스팅 자동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